개발 관련 입문용 지식

필수 리눅스 명령어 정리(미완) [Linux] (2차)

영우는여전히 2023. 9. 28. 00:02

필수 리눅스 명령어 정리

comend name

1.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약자

=>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 보여달라는 뜻

2. ls : list의 약자

=>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및 폴더 리스트를 보여준다.

3. ls -a :

앞의 명령어(ex. ls) 의 추가 기능 원할 때 [ - ] 를 붙임.

a는 all 의 약자 => 숨겨진 폴더도 보여준다.

4. mkdir <폴더명>

make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현재 경로에서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5. touch <파일명>

현재 경로에서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원래는 파일의 생성과 파일의 날짜,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라고 합니다.

6. cd <경로>

change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터미널에서 폴더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ls 명령어 입력 후 현재 내가 어떤 폴더로 이동할 수 있는지 확인부터 해야 합니다.

/(슬래시)는 ‘~안에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d.. (점 두 개)는 상위 폴더(디렉토리)입니다.

 

그 외!

echo

ex) echo "hello world!"

hello world!

 

echo hello linux!

hello linux!

 

뒤에 input 값 아래에 다시 출력 (반복)

 

timedatectl

 

Local time : 지금 현재 설정된 지역 시간

Universal time : 협정 세계시

RTC time은 하드웨어 시계 (CMOS 시계 또는 BIOS 시계)

UTC 그리니치 천문대 표준시 +0000 그 기준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 시스템의 시계와 동기화

 

NTP

Network Time Protocol

지금 몇월 며칠 몇시? NTP 서버에 물어보고

응답받아보는거임 클라이언트가

 

RTC

Real Time Clock 실시간시계

정확한 시간을 유지해야 하는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 존재한다.

 

date

데이트 왜 확인하냐면,

오후 3시에 Korea 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다.

US 에서는 1시에 확인을 하고

DB가 있는 콜롬비아에서는 11시에 데이터를 꺼내가는 것이다.

 

다 시간이 다르니까 그냥 UTC로 그냥 어느곳에서든 그렇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언제 넣었는데, 시간이 다르게 찍힌다.?

DB와 유저의 시간대가 다르게 되어있는 것이다. (KST로 되어있거나 등등)

 

timestamp

글로벌 세팅할 때는 타임스탬프를 활용해서 밀리세컨드 단위까지 잘 맞춰준다.

 

 

history

내가 썼던 명령어 확인.

 

!39 하면 39번째 명령어 사용.

 

엄청 긴 명령어가 있다면 사용하면 좋다.

 

!!

-> 바로 직전의 썼던 명령어 사용.

 


CommandName Input Option(Short Form)

순서로 된다.

 

ex)

ls -l /path/to/directory

 

ls 는 커멘드 네임,

-l 은 숏폼 또는 옵션, 

/path... 는 인풋.


 

스탠다드 4회차 1시간까지.

 

 

 

 

 

Linux란?

리눅스는 유닉스 운영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닉스 기반으로 만든 건 아니다.

 

포식스에 대해*

패킷은 8비트

뭐 통신 표준 그런게 15비트 짜리로 있다.

 

포식스로 토발스가 리눅스 동아리에서 만든것.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표준을 가지고 만듬

 

오픈소스 공개 하심. 

91년도 부터인가 디벨롭이 되고,

 

개발 환경 쪽에서나 주로 씀.

 

요즘 다른 운영체제를 많이 씀.

 

배포판으로

 

우분투, CentOS

이런 거 유명한 것들이 있다.

6가지,

안정성, 엔터프라이즈 환경, 최신 소프트웨어와 기술, 가상화 및 컨테이너, 사용자 편의성, 보안

이런 것들 생각해서 고르면 된다.